HOT 이쓔와 뉴스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궁금하다!

WMHI 2025. 5. 1. 15:10
반응형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이해하는 세 가지 시선 | WMHI 블로그

🗳️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이해하는 세 가지 시선

– 대통령을 뽑는 법, 공약의 현실, 그리고 2030의 선택


1. 대한민국 대통령, 어떻게 뽑히는 걸까?

대한민국은 5년 단임제 대통령 중심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통령은 직선제전국 유권자의 직접 투표에 의해 선출됩니다.
하지만 단순한 투표 행위 이상으로, 우리가 뽑는 방식과 절차는
우리 정치의 구조를 결정짓는 중요한 제도적 기반입니다.

  • 단임제 : 한 번 대통령이 되면 다시 출마 불가
  • 1인 1표 직접투표 : 단순 다수제, 결선투표는 없음
  • 선거 절차 : 예비후보 등록 → 공식 후보 확정 → 공약 발표와 선거운동 → 투표 → 개표

📌 현재 한국의 대선 방식은 단순하지만,
‘양강 후보 외 선택지가 없다’는 비판을 받을 만큼 결선투표 도입에 대한 논의도 활발합니다.
실제 많은 국가들이 2차 결선 투표를 통해 더 ‘합의된 대표’를 선출하고 있습니다.


2. 대통령 공약, 얼마나 지켜졌을까?

대선 때마다 쏟아지는 수많은 공약들.
하지만 당선 이후, 과연 그 공약들은 얼마나 현실이 되었을까요?
역대 주요 대통령들의 공약 이행률을 간단히 살펴보면:

대통령공약 수이행률(대략)주요 공약 성과
김대중 약 150개 65% IMF 극복, 정보통신 확대
노무현 약 250개 55% 지방분권 시도, 행정수도 이전 추진
이명박 약 250개 45% 4대강 사업, 교육 정책 혼선
박근혜 약 250개 30% 미만 창조경제 구호 vs 실제 이행 저조
문재인 약 250개 약 55% 최저임금 인상, 탈원전 논란

📌 이행률이 낮은 이유

  • 국회 협조 부족
  • 예산 문제
  • 현실과 괴리된 공약 구성
  • 긴급한 외교·경제 상황 변화 등

이런 사례들을 보면,
단순히 듣기 좋은 공약보다 실현 가능한 공약을 분별하는 ‘시민의 눈’이 중요합니다.


3. 2030, 지금 정치의 열쇠를 쥔 세대

제21대 대선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유권자층은 단연 2030세대입니다.
이들은 이전 세대보다 더 빠르게, 더 비판적으로 정치에 반응하며,
"고정 지지층"이 아니라 이슈·인물 중심으로 투표 성향이 변하는 유동층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 2030세대의 특징은?

  • SNS·커뮤니티 기반의 정보 소비
  • 이념보다 실용과 체감 정책 중시
  • 일자리, 부동산, 교육, 병역, 청년 복지 등 생활 밀착형 공약에 민감
  • 기존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실망 → 제3지대 지지 가능성 존재

특히 2030 남성과 여성 사이의 정치 성향은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청년층은 후보의 이미지와 토론 퍼포먼스에 크게 영향을 받는 성향도 있습니다.


✅ 정리하며: ‘어떻게 뽑고, 무엇을 보고, 왜 움직이는가’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우리는 단순한 '한 표'가 아니라,
어떻게 대통령이 뽑히는지, 그동안 공약이 어떻게 이행되어왔는지,
그리고 지금 시대의 핵심 유권자는 누구인지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 제도는 뼈대
  • 공약은 실체
  • 유권자는 변화의 중심

대선을 한 번 소비하는 이벤트가 아닌,
우리 삶을 결정짓는 구조와 흐름으로 바라보는 눈
그게 바로 '현명한 유권자'의 시작점입니다.

반응형